본문 바로가기
영어

재현고2 기말_마더텅노란책_11~13강_원지문&해석

by 밀리씨 2023. 12. 1.

재현고2학년 마더텅노란책 11~13강 원지문,해석, 변형 올립니다~

최소한 한등급 올리는 easy-peasy 밀리쌤 지문 분석

23 마더텅 노란책 고2 11강 (*2번 제외) 

 

01. 2018 6 18

Dear Ms. Blake,

I understand that on May 3, 2018 when you were a guest at our restaurant in the Four Hills Plaza, you experienced an unfortunate incident that resulted in a beverage being spilled on your coat. Please accept my sincere apology. Unfortunately the staff on duty at the time did not reflect our customer service policy. I have investigated the situation and scheduled additional customer service training for them. We’d like to have you back as a customer so I’m sending you a coupon for two free entrees that can be used at any of our five locations in New Parkland. Again, my apologies for the incident. I hope you give us the opportunity to make this right.

Sincerely,

Barbara Smith

 

01

2018년 6월 18번 (정답률 80%

[전문 해석]

Blake 씨께,

저는 2018년 5월 3일에 당신이 Four Hills Plaza에 있는 저희 레스토랑에서 손님이었을 때 (저희 직원이) 당신의 코트에 음료수를 흘리게 된 불행한 일을 겪으셨다는 것을 알고 있습니 다. 부디 저의 진심 어린 사과를 받아 주세요.안타깝게도 그때 근무 중이었던 직원들이 저희의 고객 서비스 정책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했습니다. 저는 그 상황을 자세히 조사했 고 그들을 대상으로 한 추가적인 고객 서비스 교육 일정을 잡았습니다. 저희는 당신을 다시 고객으로 오게 하고 싶어서(오시기를 바라며) New Parkland에 있는 저희의 다섯 개 장소(지 점)들 중 어느 곳에서든 사용될 수 있는 2인 무료 주요리를 위한) 쿠폰을 보내 드립니다.  다시한번, 저는 그 일에 대해 사과드립니다. 저는 당신이 저희에게 이 일을 바로잡을 수 있는 기회를 주시기를 바랍니다.

진심을 담아, Barbara Smith (드림)

 

 

03. 2015학년도 수능 23 [2015학년도 수능]

The key to successful risk taking is to understand that the actions you’re taking should be the natural next step. One of the mistakes we often make when confronting a risk situation is our tendency to focus on the end result. Skiers who are unsure of themselves often do this. They’ll go to the edge of a difficult slope, look all the way down to the bottom, and determine that the slope is too steep for them to try. The ones that decide to make it change their focus by analyzing what they need to do to master the first step, like getting through the first mogul on the hill. Once they get there, they concentrate on the next mogul, and over the course of the run, they end up at the bottom of what others thought was an impossible mountain.

 mogul: 모굴(스키의 활주 사면에 있는 단단한 눈 더미)

 

03 2015학년도 수능 23번 (정답률 95%)

[전문 해석]

성공적인 위험 감수의 열쇠는 여러분이 취하고 있는 행동이 자연스러운 다음 단계이어야 한다는 것을 이해하는 것이다. 위험 상황에 맞닥뜨릴 때 우리가 종종 저지르는 실수 중의 하나는 최종 결과에 초점을 맞추는 우리의 경향이다. 스스로에 대해 확신하지 못하는 스키 타는 사람들이 자주 이렇게 한다.  그들은 급경사면의 끝으로 가서 맨 아래 부분까지의 모든 경로를 살펴보고는, 그 경사가 그들이 시도하기에는 너무 가파르다고 결정할 것이다.  (반 면에) 해내기로 마음먹은 사람들은 언덕 위의 첫 번째 모굴을 통과하는 것 같이, 첫 번째 단계 를 숙달하기 위해 해야 할 필요가 있는 것을 분석함으로써 그들의 초점을 바꾼다. 일단 그 들이 거기에 도달하면, 그들은 다음번 모굴에 집중하고, 비탈 코스를 가는 동안에 마침내 다 른 이들은 불가능한 산이라고 생각했던 것의 밑바닥에 다다른다.

 

 

04. 2020 6 22

Personal blind spots are areas that are visible to others but not to you. The developmental challenge of blind spots is that you don’t know what you don’t know. Like that area in the side mirror of your car where you can’t see that truck in the lane next to you, personal blind spots can easily be overlooked because you are completely unaware of their presence. They can be equally dangerous as well. That truck you don’t see? It’s really there! So are your blind spots. Just because you don’t see them, doesn’t mean they can’t run you over. This is where you need to enlist the help of others. You have to develop a crew of special people, people who are willing to hold up that mirror, who not only know you well enough to see that truck, but who also care enough about you to let you know that it’s there.

 

[전문 해석]

개인의 맹점은 다른 사람들에게는 보이지만 당신에게는 그렇지(보이지 않는 부분이다. 맹점의 (맹점이 지닌) 발달상의 어려움은 당신이 무엇을 모르는지 모른다는 것이다. 당신이 (당신) 옆차선에 있는 (그) 트럭을 볼 수 없는, 당신 차(의) 사이드 미러의 그 영역처럼 개 인의 맹점은 당신이 그것들의 존재를 완전히 인지하지 못하기 때문에 쉽게 간과될 수 있다. 그것들은 또한 똑같이 위험할 수 있다. 당신이 보지 않는(못하는) 그 트럭? 그것은 정말 거기에 있다!  당신의 맹점도 마찬가지다. 당신이 그것들을 보지 않는다고(못한다고) 해 서 그것들이 당신을 칠 수 없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이것이 당신이 다른 사람들의 도움을 요청할 필요가 있는 상황이다. 당신은 특별한 사람들, 즉 기꺼이 그 거울을 들고 그 트럭(당신의 맹점)을 볼 수 있을 만큼 당신을 충분히 잘 알 뿐만 아니라 또한 그것이 거기 에 있다는 것을 당신에게 알려 줄 만큼 당신을 충분히 아끼는 사람들의 무리를 만들어야 한다.

 

05. 2016 9 28

Before the washing machine was invented, people used washboards to scrub, or they carried their laundry to riverbanks and streams, where they beat and rubbed it against rocks. Such backbreaking labor is still commonplace in parts of the world, but for most homeowners the work is now done by a machine that automatically regulates water temperature, measures out the detergent, washes, rinses, and spin-dries. With its electrical and mechanical system, the washing machine is one of the most technologically advanced examples of a large household appliance. It not only cleans clothes, but it does so with far less water, detergent, and energy than washing by hand requires. Compared with the old washers that squeezed out excess water by feeding clothes through rollers, modern washers are indeed an electrical-mechanical phenomenon.

 

2016년 9월 28번 어법상 틀린 것 고르기 (정답률 40%)

정답 4

[전문 해석]

세탁기가 발명되기 전에, 사람들은 빨래를 비벼 빨기 위해 빨래판을 사용하 거나 세탁물을 강기슭과 개울로 가져갔는데, 그곳에서 그들은 세탁물을 아주 세 게 계속 때리거나 바위에 대고 문질렀다.그러한 매우 힘든 노동은 여전히 세 계의 일부에서 흔히 일어나는 일이지만, 오늘날 자택을 소유하고 있는 대부분의 사람들에게 그 일(세탁하는 일)은 자동적으로 물 온도를 조절하고, 세제를 덜어 내고, 세탁하고, 헹구고, 원심력으로 탈수하는 기계에 의해 행해진다. 그것(세 탁기)의 전기를 이용하고 기계로 작동되는 시스템으로 인해, 세탁기는 대형 가 전제품의 가장 기술적으로 진보한 예들 중의 하나이다. 그것(세탁기)은 옷을 세탁할 뿐만 아니라, 손빨래가 필요로 하는 것보다 훨씬 더 적은 물과 세제, 그리 고 에너지로 그렇게 한다(세탁한다). 롤러에 옷을 넣어서 초과한 (남은) 물을 짜내는 예전의 세탁기와 비교하여, 현대식의 세탁기는 정말로 전기적으로 그리 고기계적으로 경이로운 물건이다.

 

06. 2014 11 28

Even before we were born, we were compared with others. Through the latest medical technology parents may begin comparing their children with other babies before birth. For the rest of our lives, we are compared with others, and rather than celebrating our uniqueness, comparisons usually point up who is stronger, brighter, or more beautiful. Comparisons such as “He has more money than I have” or “She looks better than I look” are likely to deflate our self-worth. Rather than finding others who seemingly are better off, focus on the unique attributes that make you who you are. Avoid judging your own value by comparing yourself with others. A healthy, positive self-concept is fueled not by judgments of others, but by a genuine sense of worth that you recognize in yourself. 

 

6 2014년 11월 28번 | 문맥상 적절한 낱말 고르기 (정답률 70%) 정답 3

[글의 내용 파악]

자아 존중감을 낮추는 남과의 비교는 피하고 자신의 독특한 속성에 집중하라는

요지의 글이다.

[전문 해석]

우리가 태어나기도 전에, 우리는 다른 사람들과 비교되었다. 최근의 의학 기술을 통해서 부모들은 출산 전에 자신들의 아이들을 다른 아기들과 비교하기 시작할 수도 있다. 우리 삶의 남은 기간 동안, 우리는 다른 사람들과 비교되 고, 비교는 우리들의 독특함을 기리기보다는 보통 누가 더 강한지, 더 똑똑한지, 혹은 더 아름다운지를 강조한다.  “그는 내가 가진 것보다 더 많은 돈을 가지고 있다." 또는 "그녀는 나보다 더 예뻐 보인다.”와 같은 비교는 우리의 자아 존중감 을 수축시키기(낮추기) 쉽다. 겉보기에 형편이 더 나은 다른 사람들을 찾기보 다는 당신을 당신으로 만드는 독특한 속성들에 집중하라. 당신 자신의 가치를 •당신과 남을 비교하는 것에 의해 판단하는 것을 피하라. 건강하고 긍정적인 •자아 개념은 다른 사람들의 판단에 의해서가 아니라, 당신이 자신 안에서 인식

하는 진정한 가치에 대한 감각에 의해 북돋워진다.

 

 

07. 2020 11 31 [최고오답률]

Over 4.5 billion years ago, the Earth’s primordial atmosphere was probably largely water vapour, carbon dioxide, sulfur dioxide and nitrogen. The appearance and subsequent evolution of exceedingly primitive living organisms (bacteria-like microbes and simple single-celled plants) began to change the atmosphere, liberating oxygen and breaking down carbon dioxide and sulfur dioxide. This made it possible for higher organisms to develop. When the earliest known plant cells with nuclei evolved about 2 billion years ago, the atmosphere seems to have had only about 1 percent of its present content of oxygen. With the emergence of the first land plants, about 500 million years ago, oxygen reached about one-third of its present concentration. It had risen to almost its present level by about 370 million years ago, when animals first spread on to land. Today’s atmosphere is thus not just a requirement to sustain life as we know it  it is also a consequence of life.

 primordial: 원시의 ♦♦ sulfur dioxide: 이산화황

 

 

07

2020년 11월 31번 (정답률 30%)

[전문 해석]

45억 년도 더 전에 지구의 원시 대기는 아마도 대체로 수증기, 이산화탄소, 이산화황과 질 소였을 것이다. 극히 원시적인 살아있는 생물체(박테리아 같은 미생물과 단순한 단세포 식 물들)의 출현과 그 후의 진화는 산소를 유리(遊離)시키고(산소 원자를 분리시키고) 이산화탄소와 이산화황을 분해하면서 대기를 변화시키기 시작했다. 이것은 더 상위 생물체가 발달 하는 것을 가능하게 했다. 약 20억 년 전에 가장 최초라고 알려진 핵이 있는 식물 세포가 진화했을 때, 대기는 (그것의) 현재 산소 함량의 약 1%만을 가지고 있었던 것처럼 보인다. 약 5억 년 전 최초의 육지 식물의 출현으로 산소는 (그것의) 현재 농도의 약 3분의 1에 도달했다. 그것(산소)은 약 3억 7천만 년 전까지 거의 (그것의) 현재 수준으로 증가했고 그때 동물들이 처음 육지에 퍼졌다. 그러므로 오늘날의 대기는 우리가 알고 있듯 단지 생명체를 유지하기위한 필요조건일 뿐만 아니라 생명체의 결과이기도 하다.

 

 

08. 2021 11 33

 

When it comes to climates in the interior areas of continents, mountains play a huge role in stopping the flow of moisture. A great example of this can be seen along the West Coast of the United States. Air moving from the Pacific Ocean toward the land usually has a great deal of moisture in it. When this humid air moves across the land, it encounters the Coast Range Mountains. As the air moves up and over the mountains, it begins to cool, which causes precipitation on the windward side of the mountains. Once the air moves down the opposite side of the mountains (called the leeward side) it has lost a great deal of moisture. The air continues to move and then hits the even higher Sierra Nevada mountain range. This second uplift causes most of the remaining moisture to fall out of the air, so by the time it reaches the leeward side of the Sierras, the air is extremely dry. The result is that much of the state of Nevada is a desert.

 

08

2021년 11월 33번 (정답률 55%)

[전문 해석]

대륙의 내륙 지역의 기후와 관련하여 산은 수분의 흐름을 막는 데 큰 역할을 한다. 이것 의 좋은 예를 미국의 서해안을 따라 볼 수 있다. 태평양에서 육지로 이동하는 공기는 보통 많은 수분을 그 안에 가지고 있다. 이 습한 공기가 육지를 가로질러 이동할 때, 그것은 코스 트산맥 산들과 마주친다. 공기가 상승하여 산 위로 이동하면서 그것이 식기 시작하고, 이는 산의 풍상측(風側)에 강수를 발생시킨다. 공기가 산의 반대편, 즉 풍하측(風下側)이라고 불리는 곳으로 내려갈 때쯤이면 그것은 많은 수분을 잃어버린다. 공기는 계속 움직이며 그 러고 나서 훨씬 더 높은 시에라네바다산맥과 부딪친다. 이 두 번째 상승은 남아 있는 수분 대부분을 공기로부터 빠져나오게 하며 그래서 그것이 시에라산맥의 풍하측에 도달할 때쯤이 면 공기는 극도로 건조하다. 그 결과는 네바다주 대부분이 사막이라는 것이다.

 

 

09. 2016 3 36

Every day in each of my classes I randomly select two students who are given the title of “official questioners.” These students are assigned the responsibility to ask at least one question during that class. After being the day’s official questioner, one of my students, Carrie, visited me in my office. Just to break the ice, I asked in a lighthearted way, “Did you feel honored to be named one of the first ‘official questioners’ of the semester?” In a serious tone, she answered that she’d been extremely nervous when I appointed her at the beginning of class. But then, during that class, she felt differently from how she’d felt during other lectures. It was a lecture just like the others, but this time, she said, she was forced to have a higher level of consciousness; she was more aware of the content of the lecture and discussion. She also admitted that as a result she got more out of that class.

 

09

2016년 3월 36번 (정답률 75%)

[전문 해석]

매일 각 수업 시간마다 나는 '공식 질문자'라는 직위를 받을 두 명의 학생을 무작위로 선발 한다. 이 학생들은 그 수업 동안 최소한 한 가지의 질문을 할 책임을 부여받는다. 그날의 공식 질문자가 된 뒤, 내 학생들 중 한 명인 Carrie는 사무실로 나를 찾아왔다. 단지 어색함을 깨기 위해, 나는 쾌활하게 “(이번 학기의 첫 번째 '공식 질문자들 중 한 명으 로 지명되어 영광이었니?”라고 물었다. 진지한 어조로, 그녀는 내가 수업 초반에 그녀를 지명했을 때 극도로 긴장했었다고 대답했다.하지만 그러고 나서, 그 수업 동안, 그녀는 다른 강의 동안 느꼈던 것과는 다른 기 분이 들었다. 그것은 다른 것(다른 수업들)과 같은 강의였지만, 이번에는, 그녀는 어쩔 수 없이 더 높 은 의식 수준을 가져야 했으며, (결과적으로) 강의와 토론의 내용을 더 잘 알게 되었다고 말했 다. 그녀는 또한 그 결과 그 수업에서 더 많은 것을 얻었음을 인정했다.

 

 

10. 2015 3 35

Human beings have always had the capacity to think spatially  this is here, that is there  even though not everybody chooses to express this understanding in mapmaking. The capacity to form mental maps must have been essential for the early humans. Hunter-gatherers, for instance, recognized the routes of the migratory animals and the best places to hunt them down even without a physical map. Wandering tribesmen needed to know how they could cross deserts safely without dying of thirst. All these people would have carried a map of their land in their head.

 spatially: 공간적으로

 

10 2015년 3월 35번 (정답률 50%)

[전문 해석]

비록 모든 사람들이 이러한(공간적인) 이해력을 지도 제작에 표현하기로 선택하지는 않 지만, 인간은 공간적으로, 즉 이것은 여기에 있고 저것은 저기에 있다고 생각하는 능력을 항 상 지녀왔다. 머릿속 지도를 구성할 수 있는 능력은 초기 인류에게 필수적이었음이 분명 하다. 예를 들어, 수렵 채집인들은 실제 지도 없이도 이주 동물들의 경로와 그들(이주 동 물들)을 사냥할 수 있는 가장 좋은 장소를 알아보았다. 유목민들은 그들이 갈증으로 죽 지 않고 무사히 사막을 건널 수 있는 방법을 알 필요가 있었다. 목판 인쇄술의 발명 이전 에, 지도는 양가죽이나 다른 적당한 재료 위에 그려졌고, 오직 손으로 베끼는 것으로만 복사 •될 수 있었다. 이 모든 사람들은 그들의 머릿속에 그들의 땅에 대한 지도를 가지고 다녔

을 것이다.

 

 

[11-12] 2017 11 41

In 2009, Emily Holmes asked a group of adults to watch a video featuring “eleven clips of traumatic content including graphic real scenes of human surgery and fatal road traffic accidents.” This was their trauma simulation, and the participants were indeed traumatized. Before watching the video, they reported feeling calm and relaxed; afterward they were disturbed and anxious. Holmes forced the adults to wait for thirty minutes. Then, half the participants played a block  matching puzzle video game for ten minutes, while the other half sat quietly.

The adults went home for a week, and recorded their thoughts in a daily diary. Once a day they recalled the scenes from the video that replayed in their minds. Those who had sat quietly after watching the video experienced an average of six flashbacks; those who had played the game experienced an average of fewer than three. The video game, with its colors and music and rotating blocks, prevented the initial traumatic memories from solidifying. The game soaked up the mental attention that might have otherwise moved those horrific memories to long-term memory, and so they were stored imperfectly or not at all. At the end of the week, the adults returned to the lab, and those who had been lucky enough to play the game reported fewer psychiatric symptoms. The video game had functioned as a “cognitive vaccine,” the researchers explained.

 

11~12

2017년 11월 41~42번 (정답률 75% , 45%)

[전문 해석]

정답 4 3

2009년에, Emily Holmes는 한 집단의 성인들에게 '사람의 수술과 치명적인 도로 교통사 고의 생생한 실제 장면을 포함한 정신적 외상(트라우마)을 일으키는 내용의 열한 개의 짧은 영상들'을 다루고 있는 비디오를 보라고 요청했다. 이것은 그들의 트라우마 모의실험이었 고, 참가자들은 실제로 정신적 외상을 입게 되었다. 비디오를 보기 전에, 그들은 평온하고 편안함을 느낀다고 보고했다. 하지만 그 이후에 (비디오를 보고난 이후에), 그들은 매우 불안 해하고 초조해했다. Holmes는 성인들을 30분 동안 기다리도록 만들었다. 그러고 나서, 절반의 참가자들은 10분 동안 블록 맞추기 퍼즐 비디오 게임을 한 반면에, 나머지 절반은 조 용히 앉아 있었다.

성인들(참가자들)은 일주일 동안 집으로 갔고, 그들의 생각을 일기에 기록했다. 하루에 한 번씩, 그들은 마음속에서 재현되는 그 비디오의 장면들을 기억해 냈다. 비디오를 본 후에, 조용히 앉아 있던 사람들은 평균 6개의 회상 장면을 경험했다. 하지만, 그 게임을 했던 사람들은 3개보다 더 적은 평균을 (평균적으로 3개보다 더 적게) 경험했다. 색깔과 음악, 그리고 회전하는 블록들이 있는 그 비디오 게임이 정신적 외상을 일으키는 초기의 기억들이 굳어지는 것을 막았다. 그 게임은 그렇지 않았다면(게임을 하지 않았다면) 그 끔찍한 기억들을 장기 기억으로 옮겼을지도 모르는 정신적 주의력을 흡수했고, 따라서 그것들(끔찍한 기억들)은 불완전하게 저장되거나 전혀 저장되지 않았다. 그 주말에, 성인들(참가자들)은 실 험실로 돌아왔고, 운 좋게 게임을 했던 사람들은 더 적은 정신병적인 증상들을 보고했다. 연구자들은 그 비디오 게임이 '인지적 백신'으로서의 역할을 했다고 설명했다.

-trauma (트라우마, 정신적 외상): 영구적인 정신 장애를 남기는 정신적 충격으로, 종종 선명한 시각 적 이미지를 동반하며 장기 기억으로 남는 경우가 많다. 이전에 경험한 사고 당시와 비슷한 상황이 되었을 때 불안해지는 것이 이에 해당한다.

-long-term memory(장기 기억): 경험한 것을 수개월에서 길게는 평생 동안 의식 속에 유지하는 기 억작용을 말한다.

-vaccine(백신): 감염 전, 신체에 인위적으로 면역체계를 활성화시켜 감염 피해를 예방하거나 그 피 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사용하는 것을 말한다.

 

트라우마
louis-galvez-I8gQVrDcXzY-unsplash

 

24 노란책 고2_문제편_11회.hwp
0.13MB
24 노란책 고2_문제편_12회.hwp
0.19MB
24 노란책 고2_문제편_13회.hwp
0.13MB
마더텅고2영어영역
마더텅고2영어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