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영어

23년_마더텅수능기출_고2노란책영어_12회 변형_재현고2

by 밀리씨 2023. 12. 3.

마더텅 수능기출 전국연합 학력평가 20분 미니모의고사 24회 중 12회 변형1(어법/어휘/부분 혹은 전체 영작) 올립니다.

 

최소한 한등급 올리는 easy-peasy 밀리쌤 지문 분석


12 

04. 20191129

 

There is a reason (how/why) so many of us are attracted to recorded music these days, especially considering personal music players are common and people are listening to music through headphones a lot. Recording engineers and musicians have learned to create special effects that t________(자극하다) our brains _______________(~을 이용함으로써/2단) neural circuits that e_________(진화했다) to discern important f__________(특징들) of our auditory environment. These special effects are similar _______________(원리상/2단) (to/with) 3D art, motion pictures, or _____________(착시/2단), (1)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그것들 중 어느 것도 우리의 뇌가 그것들을 인식할 특수한 기제를 진화시켰을 만큼 충분히 오랫동안 (우리) 주변에 있지는 않았다:  for, perceive, long, of, special, enough, mechanisms, to,  brains,   have,  none which, evolve, our,  be,  them, around). Rather, 3D art, motion pictures, and visual illusions l____________(이용하다) p_________(지각) s_________(체계들) (that/what) are_________(자리잡고 있는/2단) to accomplish other things. Because they use these neural circuits in novel ways, we find them especially (interesting/interestingly).___________________(~도 마찬가지다/5단) the way (that/what) modern recordings are made.                                                     

(1) 주어진 우리말을 이용하여 영작하되, 다음 2 조건을 충족시키시오.

  • 필요한 경우 어형변화를 할 것.
  • 주어진 단어는 중복 사용 가능.

20191129| 어법상 틀린 것 고르기 (정답률 60%)

[전문 해석]

개인용 음악 플레이어가 흔하고 사람들이 헤드폰으로 음악을 많이 듣고 있다는 것을 특히 생각해볼 때, 오늘날 우리 중 그토록 많은 사람이 녹음된 음악에 끌리는 한 가지 이유가 있다. 녹음 엔지니어들과 음악가들은 우리의 청각 환경 의 중요한 특징들을 식별하도록 진화한 신경 회로를 이용함으로써 우리의 뇌를 자극하는 특수 효과를 만들어 내는 것을 익혔다.이러한 특수 효과들은 원리상 3-D 아트, 모션 픽처, 또는 착시와 비슷하지만, 그것들 중 어느 것도 우리의 뇌가 그것들을 인식할 특수한 기제를 진화시켰을 만큼 충분히 오랫동안 (우리) 주변에 있지는 않았다. 오히려, 3-D 아트, 모션 픽처, 그리고 착시는 다른 일들을 해내기 위해서 자리하고 있는 지각 체계를 이용한다. 그것들이 이 신경 회로들을 새로운 방식으로 사용하기 때문에, 우리는 그것들이 특히 흥미롭다고 여긴다. 현대 녹음이 만들어지는 방식에서도 마찬가지이다.

 

 

06. 2020학년도 수능 32[2020학년도 수능]

 

The Swiss psychologist Jean Piaget frequently analyzed children’s c___________(개념) of time v___(~을 통해) their ability to compare or estimate the time ___________________________(짝지어진 사건들에 의해 소요된). In a typical experiment, two toy cars were shown running s____________(동시에) on p_________(평행한) tracks, one (runs/running) faster and (stops/stopping) further down the track. The children were then asked (to judge/to be judged) (why/whether) the cars had run for the same time and to j______________(근거를 보이다/정당화하다) their j_________(판단). Preschoolers and young school-age children confuse ________________________(시간과 공간 차원): Starting times are judged by starting points, stopping times *by stopping points and durations *by distance,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단어배열: 이러한 각각의 오류들이 나머지(다른 오류들)를 필연적으로 동반하지는 않지만: errors, these,  though, does, not, of,  the, others, necessitate,  eac). Hence, a child may claim (that/what) the cars started and stopped running together (correct) and that the car which stopped further ahead, ran for more time (incorrect).

'*'에 생략된 단어를 쓰시오.

 

[전문 해석] 2020학년도 수능 32(정답률 65%)

스위스의 심리학자 Jean Piaget(장 피아제)는 짝지어진 사건들에 의해 소요된 시간을 비교하거나 추정하는 그들(아이들)의 능력을 통해서 아이들의 시간 개념을 자주 분석했다. 한 대표적인 실험에서는 평행한 트랙에서 같은 시간에 (동시에) 달리는 장난감 자동차 두 대가 (아이들에게) 제시되었는데, 한 대가 더 빨리 달렸으며 (다른 한 대보다) 트랙의 더 먼 곳 에서 정지했다. 그 다음에 아이들은 그 자동차들이 같은 시간 동안 달렸는지를 판단하고, 그들의 판단이 옳다는 근거를 보이라는 요구를 받았다. 미취학 아동들과 어린 학령기 아동들은 시간 (차원)과 공간 차원을 혼동한다. 출발 시간은 출발 지점에 의해, 정지 시간은 정지 지점에 의해, 그리고 지속 시간(달린 시간)은 거리에 의해 판단되지만, 이러한 각각의 오류들이 나머지(다른 오류들)를 필연적으로 동반하지는 않는다. 이런 이유로, 어떤 아이는 자동차들이 동시에 달리기 시작했고 동시에 멈추었다고 (옳음), 그리고 더 멀리 앞에서 멈춘 자동차가 더 오랜 시간 동안 달렸다고 (틀림) 주장할지도 모른다.

 

 

이어지는 내용 : 23년 마더텅고2노란책 13회 원지문 & 해석